공교롭게도 애트우드의 페넬로피아드 다음으로 고른 르 귄의 라비니아 (2008)도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자기 목소리를 가지지 못한 여성을 주인공으로 삼고 있다. 이 책의 주인공 라비니아는 로마 시인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아이네이드와 호머의 일리아드에 등장하는 아이네이아스의 아내이다. 헬레네가 트로이의 전쟁의 불씨가 된 것처럼 라비니아 역시 트로이에서 온 아이네이아스와 이탈리아 토착 왕국 사이의 전쟁의 불씨가 된다. 라비니아의 아버지 라티누스 왕은 신탁에 따라 딸을 아이네이아스와 결혼시키려 하나 라비니아를 자신의 배우자로 원했던 루툴라이의 왕 투르누스는 이에 반발하고 이 두 세력은 전쟁을 벌이게 된다.

이들 영웅들과 전쟁, 그리고 신들의 농간은 자세하게 아이네이드에서 그려지지만 정작 라비니아는 이 이야기에서 아무런 발언권을 가지지 못한다. 그리고 르 귄은 라비니아에게 목소리를 부여한다. 그리하여 라비니아는 이 책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라비니아는 역사적 인물이 아니라 신화적 인물이다. 베르길리우스는 그녀에게 목소리를 부여하지는 않았지만 그녀의 존재를 만들어냈다. 그러므로 그녀의 존재는 서사시 아이네이드로 인해서만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 소설이 특별한 것은 라비니아가 그러한 자신의 존재의 한계성을 인식한다는 점이다. 심지어 라비니아는 신탁을 받는 신성한 장소에서 베르길리우스를 만나고 자신과 자신의 남편의 운명에 관한 이야기를 듣는다. 마치 신탁을 듣는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그녀는 베르길리우스가 말한 것과 같은 운명을 겪게 된다. 그런데 아이네이드는 아이네이아스가 투르누스를 죽이는 순간에서 끝을 맺는다. 더 이상 그녀에게 정해진 운명의 길은 없다. 그리고 이 소설에서 라비니아는 베르길리우스가 글을 끝맺은 순간부터 자신의 판단 하에 독자적으로 운명을 개척해나간다. 

르 귄은 이 소설에서 그녀만의 신화적 영웅을 만들어냈다. 라비니아는 자신이 베르길리우스가 만들어 낸 인물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점에서는 독특하지만 자신의 삶이 이미 정해진 운명에 따라 움직인다는 사실을 인식한다는 점은 그리스 로마 신화의 다른 인물들과 다를 바가 없다. 그리스 로마 신들을 통해 신탁을 내려받는 대신 그녀는 베르길리우스를 통해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운명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녀는 운명을 겸허히 수용하면서 자신의 판단과 의지에 따라 현명하게 결정을 내리고 행동한다. 이 책을 통해 라비니아를 따라가다보면 고귀한 그녀에게 반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르 귄은 그런 라비니아에게 특별한 선물을 주었다. 베르길리우스의 글은 끝났지만 그녀의 삶은 계속된다. 그녀는 다른 그리스 로마 신화의 영웅들과 달리 자유의지에 따라 삶을 살아가는 특권을 얻는다.

애트우드는 페넬로피아드에서 페넬로페에 초점을 맞추면서 오디세우스에게 영웅의 아우라를 조금 빼앗는데 이 소설에서 아이네이아스는 같은 운명에 처하지 않는다. 라비니아가 선택한 그녀의 배우자 아이네이아스는 그녀에게 걸맞는 인물로 그려진다. 아이네이아스와 라비니아는 비슷한 미덕과 가치관을 공유하고 있다. 고통스러운 여정을 거쳐온 아이네이아스는 현명하고 사려 깊은 근사한 남편이자 지도자로 그려진다. 

르 귄이 그려내는 신화 속 초기 로마의 모습은 매우 아름답다. 그곳은 자연과 신성함으로 충만한 곳이고 인간들은 그 앞에서 겸허할 줄 안다. 조상과 자연의 신들에게 예물을 바치는 의식들은 어떤 종교보다도 진지하고 엄숙하고 종교적이다. 작품 후기에서 르 귄은 자신은호화로운 로마 제국이 아니라 초기 로마 공화국에 대해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다고 서술한다. 그리고 소설에서 그려지는 초기 로마의 모습을 보면 그녀의 애정을 느낄 수 있다. 

뭐랄까, 이 소설과 소설의 후기를 읽고 나니 르 귄의 어스시 시리즈가 새롭게 다가오는 것 같다. 나는 르 귄의 SF 소설들을 무척 좋아하는 반면 어스시 시리즈는 좀 싱겁다는 생각을 했는데 라비니아를 읽고 나니 그 생각을 좀 수정할 필요가 있는게 아닌가 싶다. 조만간 어스시 시리즈도 다시 한번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Posted by Adella

시녀이야기 (1985)The Blind Assassin (2000)에 이어 세번째로 접하는 마거릿 애트우드의 소설 페넬로피아드 (2005)는 여성주의적 상상력와 아름다운 문장, 그리고 유머로 가득찬 작품이다.

이 책은 오디세우스가 20년간 방랑을 할 동안 정숙하게 그를 기다린 페넬로페와 그녀의 시녀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물론 애트우드 나름의 해석을 곁들여서 말이다. 이 소설은 나처럼 호머의 오디세우스를 읽지 않아 배경지식이 없더라도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물론 한 가지 문제라면 호머의 해석을 읽기도 전에 현대적인 시각으로 해석한 글을 먼저 읽어버려서 일종의 편견이 생길 수도 있다는 건데 그렇다고 고작 200 페이지 남짓의 페넬로피아드를 읽기 위해 이제와서 오디세우스를 읽기에는 조금 벅차다.) 

애트우드의 전작들처럼 이 책도 역시 진지하고 나름대로 무거운 이야기인데도 전작들보다 가볍게 읽을 수 있었던 까닭은 이 책의 구성 덕택이다. 이 책에는 두 화자들의 이야기가 교차하는데 하나는 페넬로페가 들려주는 자신의 이야기이고 다른 하나는 페넬로페의 12명의 시녀들이 들려주는 이야기이다. 페넬로페의 이야기가 진지한 본편이라면 시녀들의 이야기는 노래와 패러디로 구성되어 있어 유쾌발랄하다. 이 책 마지막에 실려있는 애트우드의 노트를 보니 이는 그리스 연극의 형식을 빌린 것으로 그리스 연극에서는 본편이 진행되기 전에 본편을 패러디한 간막극이 있었다고 한다. 이 책에서 이 챕터들은 The Chorus Line이라는 제목이 붙여져 있는데 나는 이 챕터들을 통해 애트우드가 소설가일 뿐만 아니라 시인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을 수 있었다. 애트우드의 시는 아직 한번도 안 읽어봤는데 꼭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만큼 경쾌하고 아름다운 시들이 이 챕터들에서 등장하게 된다. (이 챕터들이 시만으로 구성된 건 아니다. 어떤 챕터는 시녀들의 인류학 강의로 구성되어 있고 - 이 부분 읽으면서 정말 많이 웃었다. 페넬로페 이야기를 어떤식으로 재해석한 것인지에 대해 애트우드는 이 챕터에서 너무 적나라하게 서술해버린다. - 어떤 챕터는 오디세우스에 대한 재판 형식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아직 내가 읽지 않은 애트우드의 책들도 많고 그녀가 여전히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하고 있어서 매우 기쁘다. 일단 애트우드의 다른 책들은 아껴두고 다음은 내가 좋아하는 또 다른 작가 어슐러 르 귄의 소설을 읽을 계획이다. (요즘 논픽션만 계속 읽었더니 픽션의 세계로 다시 돌아오고 싶어졌다.) 

*페넬로피아드가 국내에 번역되었는지 찾아보려다가 발견한 이 책에 대한 서평. 내가 쓴 글보다는 훨씬 깊이 있는 분석이라고 생각해서 여기 링크를 걸어 둔다. 

Posted by Adella
글에서 묘사되는 재판 과정은 기이하기 짝이 없는데 주인공은 자신이 무슨 죄목으로 기소가 되었는지도 모른다. 죄목이 뭔지도 모르고, 열람할 수 있는 파일도 없고, 기록으로 남겨진 판례도 없으니 도대체 변호하기 난해하기 그지 없다. 구체적인 죄명이 뭔지 모르니 변호사가 하는 일은 기소된 죄목을 반박하는 것이 아니라 법원의 영향력 있는 사람들과 접촉하는 것이다. 변호사 이 외에도 주인공을 도와주겠다고 하는 사람들이 나타나지만 그들이 하는 일도 개인적인 관계를 이용해서 주인공의 케이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뭐 이렇게 말도 안되는 재판 과정이 다 있나 싶지만 이 소설을 읽으면서 머리속에 떠오른 건 관타나모 베이에 갇혀있는 수감자들이었다. 예전에 읽은 신문기사들에 따르면 먼저 수감자들이 체포되는 과정부터 문제가 많다. 세계 각지에서 테러리스트라고 체포되고 미국으로 넘겨져 관타나모 베이에 수감된 이들 중 많은 이들은 테러와는 관계없고 현상금에 눈먼 이들에 의해, 혹은 정적에 의해미군으로 넘겨진다. 이렇게 어처구니 없이 관타나모 베이에 수감된 사람들은 자신의 죄목이 무엇인지 알려달라고 간청하지만 돌아오는 건 그러한 정보는 기밀 정보이기 때문에 자세한 건 알려줄 수 없다는 대답 뿐이다. 도대체 자신이 무슨 짓을 저질렀다는 혐의가 걸린건지 알아야 반박을 하거나 인정을 할텐데 그 핵심적인 걸 알려주지 않으니 대책이 없는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그저 기약 없이 관타나모 베이에 계속 수감되어 있다. 카프카의 소설에서 묘사되는 비현실적인 재판 과정은 의외로 현실과 그다지 멀리 있지 않다.

그의 소설은 또 다른 측면에서도 현실과 닮았는데 그것은 이 재판 과정이 지극히 폐쇄적이라는 것이다. 외부인들은 도무지 무슨 일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 수 없다. 재판정 내부와 관련을 맺고 있는 사람들만이 일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다. 그러니 대대로 판사들의 초상화를 그려왔다는 화가가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투명성이 결여된 정부 시스템은 실제로 지금도 이런 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니 카프카가 그리는 세계는 현재의 우리에게도 그리 낯설지만은 않다.

Posted by Adella
읽는 내내 나를 행복하게 해주었던 Hunting and Gathering을 이제 막 다 읽었다. 정말로 책 뒷표지에 발췌된 서평에 대공감하게 만드는 소설이다: "This admirable novel makes you love life. And all your fellow human beings as well-your brothers and sisters."

마이클 커닝햄의 책을 읽고 이 책을 연달아 읽어서 그런지 두 책이 조금은 유사하다고 느꼈는데 Hunting and Gathering은 세상 끝의 사랑의 더 행복한 버전이라고나 할까. 두 책의 유사한 점을 꼽아본다면:

1. 전혀 관계 없는 세 명이 같이 살게 된다. (Jonathan, Bobby, Clare/Philibert, Franck, Camille)
2. 주인공 중 한 명이 요리사다. (Bobby/Franck)
3. 셋 다 서로에게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다.
4. 그 중 두 명이 사랑에 빠진다. (Jonathan & Clare/Franck & Camille)
5. 레스토랑을 차린다.
6. 주인공 중 한 명은 물려받은 거액의 유산을 가지고 있다. (Clare/Camille)
7. 불행한 가족사를 가지고 있다.

사실 무엇보다도 두 책을 한 장르 아래에 묶을 수 있는 건 두 책 모두에서 주인공들은 혈연으로 이어지지 않은 공동체에서 행복을 찾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세상은 좀 더 맞서 살아갈 수 있을만한 곳이 된다. 400페이지가 넘는 두꺼운 책이지만 안나 가발다의 글은 마치 노래하는 것처럼 경쾌하게 흘러가고, 세 명의 주인공과 조연급 인물들의 삶이 어우러져 한 편의 서사시가 된다. 인간성에 대한 낙관적인 믿음이 글 전반에 흐르고 있어서 책을 덮고 나면 나의 가족, 친구, 동료, 이웃, 그리고 전혀 모르는 타인일지라도 잘 대해야 하겠다, 그것이 이 세상을 좀 더 살만한 곳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라면, 하는 다짐을 하게 된다. 정말 그래야 할 것 같다.

그리고 로맨스 영화의 클라이막스에서 볼 수 있을 법한 소설의 마지막 장면 (에필로그 제외하고):
Franck looked at the clock.
"Right. You've got five minutes to get it together and say one six-word sentence. That's doable, no? Go on," he teased, with false joviality. "If six is too much, I'd settle for three. But the right ones, okay? Shit! I didn't punch my ticket. Well?"
Silence.
"Never mind. I guess I'll stay a frog."

He put his big bag on his shoulder and turned his back to her.
He ran to catch up with the ticket collector.
She saw him take his ticket and wave to her.

And the Eurostar slipped between her fingers.
And she began to cry, silly girl that she was.
And all you could see was a little gray dot in the distance.

Her cell rang.
"It's me."
"I know. It tells me on the screen."
"I'm sure you're in the middle of a hyperromantic film, there. I'm sure you're all alone on the platform, like in a film, crying for your lost love in a cloud of white smoke..."
Her own smile brought tears to her eyes.
"Not-not at all," she managed to say, "I-I was just leaving the station, actually."

"Liar," said a voice behind her.

She fell into his arms and held him so so so tight.
Until she felt her skin snap.

She was crying.

All the valves opened and she blew her nose against his shirt, cried some more, letting go of twenty-seven years of solitude, of sorrow, of nasty blows to the head, crying for the cuddles she never had, her mother's madness, the paramedics on their knees on the wall-to-wall carpet, her father's absent gazes, the shit she went through, all those years without any respite, ever, the cold, the pleasure of hunger, the wrong paths taken, the self-imposed betrayals, and always that vertigo, the vertigo at the edge of the abyss and of the bottle. And the doubt, her body always in hiding, and the taste of ether and the fear of never being good enough. And Paulette too. The sweet reality of Paulette, pulverized in five and a half seconds.

Franck closed his jacket round Camille and put his chin on her head.
"There...there," he murmured softly, not knowing if he wanted to say, There, keep crying, or, There, dry your tears.

It was up to her.

Her hair was tickling him, he was covered in snot and he was insanely happy.
Insanely happy.
He smiled. For the first time in his life, he was in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

He rubbed his chin across her scalp.
"C'mon, sweetheart. Don't worry, we'll make it. We won't do any better than anyone else but we won't do any worse, either. We'll make it, you hear? We'll make it. We've got nothing to lose, since we have nothing to begin with. C'mon. Let's go."
(이 상황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자면 사랑한다고 말하길 두려워하는 Camille와의 관계에 질려서 영국으로 떠나려는 Franck에게 Camille는 자기가 Franck를 위한 레스토랑을 차려주겠다고 절박하게 제안한다. Franck는 자기는 그런 돈은 필요없다며 "네가 가지 않기를 원해"라고 말해달라며 Camille에게 애원하지만 Camille는 자신은 Franck, 자기 자신, 그리고 모든 것이 두렵다고만 말한다. 그리고 Franck는 예정했던대로 영국으로 떠나려 하고 발췌한 부분이 바로 공항에서 벌어지는 사건.)

에필로그는 그래서 그들은 앞으로 행복하게 살아갑니다, 는 식으로 끝난다. 어쩐지 미국 소설인 세상 끝의 사랑이 더 프랑스 소설스러운 느낌. 그렇지만 무슨 상관이랴. 때로는 이러한 해피엔딩도 필요한 법이다.


Posted by Adella
아, 역시 마이클 커닝햄이 좋다. 유리처럼 깨질 것 같으면서도 쉽게 부서지지 않을 것 같은 그런 섬세한 감수성이 너무나 좋다. 글을 읽는 내내 그가 보여준 이들 주인공들의 세계에 푹 빠져서 마지막 문장까지 읽고 나서도 한동안 멍하게 있었다. 글의 마지막은 정말 마지막다워서 한동안 곱씹어 읽었다. 이 소설은 이렇게 끝난다:
...But as I stood in the water, something happened to me. I don't know if I can explain this. Something cracked. I had lived until then for the future, in a state of continuing expectation, and the process came suddenly to a stop while I stood nude with Bobby and Erich in a shallow platter of freezing water. My father was dead and I myself might very well be dying. My mother had a new haircut, a business and a young lover; a new life that suited her better than her old one had. I had not fathered a child but I loved one as if I was her father-I knew what that was like. I wouldn't say I was happy. I was nothing so simple as happy. I was merely present, perhaps for the first time in my adult life. The moment was unextraordinary. I realized that if I died soon I would have known this, a connection with my life, its errors and cockeyed successes. The chance to be one of three naked men standing in a small body of clear water. I would not die unfulfilled because I'd been here, right here and nowhere else. I didn't speak. Bobby announced that the minute was up, and we took Erich back to shore.
글 내내 자신의 삶에 무언가가 결여되었다고 느끼던 조나단은 이렇게 마지막에, 비극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상황-아버지가 죽고, 클레어가 아이와 함께 떠났고, 에리히는 죽어가고 있으며, 자신도 곧 그처럼 죽어갈지 모르는 상황-에서 처음으로 자신의 삶이 충만함을 느낀다. 그렇게 삶은 아이러니한 것이니 닥쳐올 혹은 닥쳐온 비극에 너무 절망할 필요는 없다. 자신의 삶이 남들과 다르다고 해서, 불안정하다고 해서 불안해할 필요도 없다. 삶의 충족감은 지극히 평온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오지만은 않으며 금방이라도 무너질 것만 같은 불안정한 상태에서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안정된 직장, 확실하고 안정된 관계만이 전부가 아니다. 커닝햄은 앨리스의 삶을 통해서, 그리고 조나단, 바비, 클레어의 unorthodox한 관계를 통해서 그것을 보여준다. 그래서 그의 글은 마치 따뜻한 위로와도 같고 용기를 불어넣어주는 격려와도 같다. 이 사회가 인정하는 틀에 들어맞는 삶을 살지 않아도 괜찮다고 말해주는 듯한 그의 글은 많은 힘이 되어 준다.
Posted by Adella
이전버튼 1 2 3 4 5 6 이전버튼

블로그 이미지
"하지만 아무 것도 쓰지 않는 사람은 영원히 잊혀질 걸세. 그런 사람은 이 세상을 흔적도 없이 스쳐지나갈 뿐이네."
Adella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4.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