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3. 5. 13:22 책/픽션
마이클 커닝햄, 세상 끝의 사랑 (A Home At the End of the World) (1990)
아, 역시 마이클 커닝햄이 좋다. 유리처럼 깨질 것 같으면서도 쉽게 부서지지 않을 것 같은 그런 섬세한 감수성이 너무나 좋다. 글을 읽는 내내 그가 보여준 이들 주인공들의 세계에 푹 빠져서 마지막 문장까지 읽고 나서도 한동안 멍하게 있었다. 글의 마지막은 정말 마지막다워서 한동안 곱씹어 읽었다. 이 소설은 이렇게 끝난다:
...But as I stood in the water, something happened to me. I don't know if I can explain this. Something cracked. I had lived until then for the future, in a state of continuing expectation, and the process came suddenly to a stop while I stood nude with Bobby and Erich in a shallow platter of freezing water. My father was dead and I myself might very well be dying. My mother had a new haircut, a business and a young lover; a new life that suited her better than her old one had. I had not fathered a child but I loved one as if I was her father-I knew what that was like. I wouldn't say I was happy. I was nothing so simple as happy. I was merely present, perhaps for the first time in my adult life. The moment was unextraordinary. I realized that if I died soon I would have known this, a connection with my life, its errors and cockeyed successes. The chance to be one of three naked men standing in a small body of clear water. I would not die unfulfilled because I'd been here, right here and nowhere else. I didn't speak. Bobby announced that the minute was up, and we took Erich back to shore.글 내내 자신의 삶에 무언가가 결여되었다고 느끼던 조나단은 이렇게 마지막에, 비극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상황-아버지가 죽고, 클레어가 아이와 함께 떠났고, 에리히는 죽어가고 있으며, 자신도 곧 그처럼 죽어갈지 모르는 상황-에서 처음으로 자신의 삶이 충만함을 느낀다. 그렇게 삶은 아이러니한 것이니 닥쳐올 혹은 닥쳐온 비극에 너무 절망할 필요는 없다. 자신의 삶이 남들과 다르다고 해서, 불안정하다고 해서 불안해할 필요도 없다. 삶의 충족감은 지극히 평온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오지만은 않으며 금방이라도 무너질 것만 같은 불안정한 상태에서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안정된 직장, 확실하고 안정된 관계만이 전부가 아니다. 커닝햄은 앨리스의 삶을 통해서, 그리고 조나단, 바비, 클레어의 unorthodox한 관계를 통해서 그것을 보여준다. 그래서 그의 글은 마치 따뜻한 위로와도 같고 용기를 불어넣어주는 격려와도 같다. 이 사회가 인정하는 틀에 들어맞는 삶을 살지 않아도 괜찮다고 말해주는 듯한 그의 글은 많은 힘이 되어 준다.